충북 단양군 가곡면 사평리(사평4리) 두산마을 여름풍경 & 두산 패러글리이딩 활공장 – 20250712
[Music] Heat. [Music] [Music] Heat. Heat. [Music] Heat. [Music] Heat. [Music] Heat. [Music] [Applause] [Music] Heat up Heat. [Music] Heat. [Music] I am. [Music] Heat. [Music] Heat. Heat. Heat. [Music] Heat. Heat. [Music] [Applause] [Music] Heat. Heat. [Music] [Music] [Music] [Music] Heat. Heat. [Music] [Music] Yeah. Hallelujah. [Music] Oh, heat, heat. Heat. Heat. Heat. Heat. [Music] Heat. Heat. [Music] Heat. [Music] Heat. [Music] Heat. Heat. Heat. Heat. [Music] [Music] [Music] [Music] Hey, hey, hey. [Music] Hey, hey, hey. [Music] Hey, [Music] hey, hey. [Music] [Music] [Music] [Music] Hey, hey, hey. [Music] Hey, [Music] hey, hey. [Music] Hey, [Music] hey, hey. [Music] [Music] Nat. [Music] [Music] [Music] [Music]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사평리(사평4리) 두산마을 여름풍경 & 두산 패러글리이딩 활공장 동영상이다. 가곡면 사평4리 두산마을은 2000년대 중반까지는 고랭지 감자 재배단지로 알려진 마을이다. 단양군은 곳곳에 패러글라이딩 활공장과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다. 두산마을도 농가보다 패러글라이딩과 펜션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은 곳이다. 남한강이 굽이쳐 두산마을 아래 흘러가고, 저 멀리 바라보이는 단양의 명산들을 바라보며 푸른 창공을 나는 패러글라이딩 체험을 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마을이기도 하다.
연혁
본래 영춘군 대곡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아평(애평) 용산동(龍山洞), 여울목, 두산(頭山)을 병합하여 사평리라 하고 단양군 가곡면에 편입되었다.
특성
새빌은 가곡면 행정의 중심지이며 여울목과 더불어 남한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다.
두산은 해발 400-500미터의 고산지대에 자리잡은 마을로 감자가 유명하다.
용산동은 아평에서 하일천을 따라 올라가다가 동북쪽으로 길게 들어간 골짜기를 말하는데 가곡면의 주산인 용산봉의 아래에 위치한 산골 마을이다.
면소재지인 새빌은 수해로 인하여 다소 높은 지대로 이주하였고 마을 앞에 새별공원을 아름답게 조성하였다.
강 건너편 산의 허리를 감아 돌면서 남한강이 흘러가는 데 봄의 꽃과 가을의 단풍이 아름다운 강촌 마을이다.
산천 및 지명유래
새평(새빌) : 사평1리의 중심이 되는 부락
안말 : 사평1리 장터 안쪽에 있는 마을
아평(애평) : 새평 남쪽 하일천의 입구에 있는 마을
두산 : 두산의 높은 곳에 위치한 마을
용산골(龍山洞) : 아평에서 하일천을 따라 올라가다가 동북으로 들어간 골짜기 마을
중터(중턱) : 두산 입구에서 두산 마을로 가는 서쪽 아래 중간지점에 있는 마을
여울목(灘項洞) : 사평1리의 동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독장골 : 여울매기 남쪽에 있는 마을
지사골 : 독장골 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서낭당골 : 현재도 2가구 있고 서낭당이 있음
큰골 : 홍전이 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화전민 2가구가 살았으나 현재는 인가가 없음
여울매기(여울목:탄항동) : 아래 여울과 윗 여울 사이에 있는 여울매기가 있는 마을
홍쟁이 : 여울매기 동쪽에 여물목과 약 4-50m 사이로 붙어 있는 마을
여천고개 : 새벌과 여천리 여우내 사이에 있는 고개로 여천에서 가곡으로 통하던 길
옥녀봉 : 마을 앞산
도투마리산 : 우덕레미콘 앞자락에서 두산 쪽으로 올라가는 두산의 앞쪽 산으로 베를 짤 때 쓰는 도투마리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산 이름.
문둥골 : 보통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남은골 : 집터가 좋아 집을 짓고 살면 양식이 늘 먹고 남는다 하여 남은골이라 불리며 사평2리 뒷편(동북쪽)에 위치한 골짜기
속딩이골 : 마을 뒤편 안 쪽 구렁이를 일컫는 말로 옛날 봉암사가 있었으나 화전 정리할 때 간첩들의 은신처가 된다고 하여 동리에서 500m 이상 떨어져 있는 곳은 모두 철거했다고 전함
돼지목골 : 용산골 뒷산으로 산돼지가 다니던 길목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포수들이 길목을 지키며 산돼지를 잡던 곳
역구양지 : 애평 남쪽에 있는 마을. 마을 옆에 있는 양지 바른 땅
봉우뚝(峰郵등) : 두산 남쪽에 있는 산 높이 695m로 전에 봉화를 올렸다고 함
두산폭포 : 두산 북쪽 약 1km 지점에 있는 폭포. 높이 약 5m 정도
부엉골 : 부엉이가 많았다하여 붙여진 골
화장골 : 죽은 사람을 화장을 하던 골짜기라고 하여 붙여진 골 이름
약물탕구렁이 : 약물이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
큰터 : 두산 지역의 농경지가 많은 곳을 이름
길골 : 골이 길다는 의미로 길골이라 함
구렁골 : 공이 구덩이처럼 패였다 하여 구렁골이라 함
군들목여울 : 홍전이 남쪽에 있는 여울로서 물살이 급해 돌이 구른다 함
도장골(도랑골) : 사평 동쪽에 있는 밭이 많은 골짜기
큰갈구렁 : 새별 서쪽에 있는 골짜기
작은갈구렁 : 큰갈구렁 동쪽에 있는 골짜기
샘터골 : 독장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샘이 있었으며 입구에는 법화사라는 절이 있음
여울매기(여물목, 탄항동) : 새평 동북쪽에 있는 여울
여우골 : 면사무소 위 주유소 골
보통골(벌통골) : 홍쟁이 남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 벌통을 많이 놓았다고 함
사평나루 : 사평1리의 앞에 있던 나루
아평나루(덕천나루) : 아평에서 덕천으로 건너가던 나루
여울목 약수탕 : 남탕과 여탕이 분리되어 있는데, 피부병에 걸린 사람들이 그물을 맞으면 금방 낫는다고 함
패러글라이딩 장 : 두산의 정상에 있음
산골 : 조개같이 생긴 아주 작은 생물로 뼈의 접골에 효과 있다고 함(두산에서남)
선돌바위 : 사평 뒷산에 8부 능선에 보이는 높은 바위
민경바위 : 옥녀봉에 옥녀가 내려와서 빗접(머리 빗는 빗을 담아 두는 제구)을 펴고 마을 하천의 물이 고인 빈장(절벽)에 거울처럼 물이 비치는 민경(면이평평한 거울) 바위에서 머리를 빗었다는설이 있음
북바우등 : 돌이 커다란 북같이 생긴 것이 있음
너븐바위 : 샘터골에 있는 넓은 바위
사평교 : 아평교
너분바위 : 샘터골에 있는 넓은 바위
*.사평리 설명 자료출처: 단양군홈페이지